‘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제31권 제3호에 게재된 ‘UVB 광 손상에 대한 백작약의 보호 효과’라는 제하의 연구 논문에서는 백작약 에탄올 추출물 (이하 PRA)이 인간 각질형성세포인 HaCaT cell의 UVB 매개 광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지닌 한약재로서의 가치를 입증했다.
만성 피로 증후군 (ME/CFS)은 단순 만성 피로 증상과 달리,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원인으로 극도의 피로감, 수면 후 불쾌감, 가벼운 활동 후 활력 고갈, 인지 및 집중력 저하 및 머리에 안개 낀 것과 같은 브레인포그 증상을 호소하는 복합 뇌 신경계 질환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은 5일 김민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대규모 연구를 통해 돌발성 난청 재발률과 관련 인자를 밝혀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이비인후과 학술지인 ‘The Laryngoscope’에 발표했다.
우즈베키스탄 (이하 우즈벡)에서 한의학 침구의학 교육이 국가 공인 침구 치료 자격증을 발급할 수 있는 교육으로 인정돼 우즈벡 현지에서의 한국 한의약에 대한 위상이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대한침구의학회(이하 침구의학회)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미래 침구의학 발전의 주축이 될 신진 연구자들을 위한 시상식이 진행된 가운데 구본혁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교수가 우수연구자상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본란에서는 구본혁 교수로부터 수상 소감 및 침구의학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전가윤 학생(본과 3학년)과 김승남 교수(경혈학교실)가 함께 연구를 수행한 ‘침 치료의 항우울 효과와 순환 엑소좀 microRNA 발현 변화란 제하의 연구가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of Nneuroscience·SFN)의 2023 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진용·이하 한의학연)은 한의약데이터부 차성원 박사 연구팀이 작약감초탕의 새로운 약리 기전을 찾고, 근감소증 개선 효능을 규명해 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문학술지 ‘Phytomedicine (IF=7.9)’에 게재됐다.
경희대한방병원 중풍뇌질환센터 권승원·이한결 교수팀이 ‘한약 청혈단의 허혈성 뇌졸중 재발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SCI(E)급 학술 저널인 ‘메디슨 (Medicine)’ 2023년 11월 호에 게재됐다.
턱관절 장애 치료에 있어 물리 치료 등 통상 치료와 비교한 결과 침 치료가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한 평가지표의 분석을 통해 침 치료의 유효성을 밝힌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Medicine (IF=1.552)’에 게재됐다.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제31권 제3호에 게재된 ‘UVB 광 손상에 대한 백작약의 보호 효과’라는 제하의 연구 논문에서는 백작약 에탄올 추출물 (이하 PRA)이 인간 각질형성세포인 HaCaT cell의 UVB 매개 광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지닌 한약재로서의 가치를 입증했다.
만성 피로 증후군 (ME/CFS)은 단순 만성 피로 증상과 달리,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원인으로 극도의 피로감, 수면 후 불쾌감, 가벼운 활동 후 활력 고갈, 인지 및 집중력 저하 및 머리에 안개 낀 것과 같은 브레인포그 증상을 호소하는 복합 뇌 신경계 질환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은 5일 김민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대규모 연구를 통해 돌발성 난청 재발률과 관련 인자를 밝혀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이비인후과 학술지인 ‘The Laryngoscope’에 발표했다.
우즈베키스탄 (이하 우즈벡)에서 한의학 침구의학 교육이 국가 공인 침구 치료 자격증을 발급할 수 있는 교육으로 인정돼 우즈벡 현지에서의 한국 한의약에 대한 위상이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대한침구의학회(이하 침구의학회)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미래 침구의학 발전의 주축이 될 신진 연구자들을 위한 시상식이 진행된 가운데 구본혁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교수가 우수연구자상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본란에서는 구본혁 교수로부터 수상 소감 및 침구의학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전가윤 학생(본과 3학년)과 김승남 교수(경혈학교실)가 함께 연구를 수행한 ‘침 치료의 항우울 효과와 순환 엑소좀 microRNA 발현 변화란 제하의 연구가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of Nneuroscience·SFN)의 2023 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진용·이하 한의학연)은 한의약데이터부 차성원 박사 연구팀이 작약감초탕의 새로운 약리 기전을 찾고, 근감소증 개선 효능을 규명해 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문학술지 ‘Phytomedicine (IF=7.9)’에 게재됐다.
경희대한방병원 중풍뇌질환센터 권승원·이한결 교수팀이 ‘한약 청혈단의 허혈성 뇌졸중 재발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SCI(E)급 학술 저널인 ‘메디슨 (Medicine)’ 2023년 11월 호에 게재됐다.
턱관절 장애 치료에 있어 물리 치료 등 통상 치료와 비교한 결과 침 치료가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한 평가지표의 분석을 통해 침 치료의 유효성을 밝힌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Medicine (IF=1.552)’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