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여정실’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 발현을 낮추는 등 척수신경세포의 활성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소장 하인혁) 이준선 연구원 연구팀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손상된 척수신경세포가 한약재 여정실을 통해 활성화되는 효과를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폐경 전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질염 중 25%의 비율을 차지하는 외부 생식기-질 칸디다증을 유발하는 칸디다균의 생물막과 독성 억제에 맥문동 추출물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진용)은 한약자원연구센터 (센터장 최고야) 박준홍 박사 연구팀이 ‘백리향’ 추출물의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효능을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백리향은 한의학에서 사향초(麝香草)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감기·기침·기관지염·소화불량·치통·관절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었으나 현재 그 활용이 많이 줄었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동서생명과학연구원 (원장 손창규)이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폐경 후 여성의 기억력 감퇴 및 우울감 발생’의 기전을 규명한 연구논문 (주저자 백동철)이 국제저명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등재됐다고 18일 밝혔다.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병원장 김영일)는 동서생명과학연구원의 학생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에 참여한 한의대 본과 3학년 박재웅 학생팀이 2년간의 노력 끝에 전 세계 만성피로증후군 환자들의 피로도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우울감이 있는 사람들의 한의 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논문이 ‘대한한의학회지 (제45권 제2호, 2024년 6월 호)’에 게재됐다. 이번 논문은 동의대학교 보건의과학과·의료경영학과·한방신경정신과 연구진 (이태현·박일수·권찬영)이 작성했다.
주요 우울 장애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침 치료 세션 횟수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한 치료 효과 간의 용량 효과 관계를 조사했다. 침 치료 세션 횟수와 HAMD 점수 간의 용량 효과 관련성이 관찰되었으며, 36회의 침 치료 세션이 최적의 임상적 반응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팀은 EEG (전두엽 2채널 뇌파 측정 장치)를 활용, MCI 환자군 (481명)과 정상 인지 기능군 (1,043명)의 청각 자극에 반응하는 선택적 주의력 ERP (특정 사건 관련 뇌 내 반응)를 측정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소장 하인혁) 박경선 원장 연구팀은 만성 턱관절 장애 치료에 대한 자하거 약침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IF=3.4)’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한약재 ‘여정실’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 발현을 낮추는 등 척수신경세포의 활성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소장 하인혁) 이준선 연구원 연구팀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손상된 척수신경세포가 한약재 여정실을 통해 활성화되는 효과를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폐경 전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질염 중 25%의 비율을 차지하는 외부 생식기-질 칸디다증을 유발하는 칸디다균의 생물막과 독성 억제에 맥문동 추출물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진용)은 한약자원연구센터 (센터장 최고야) 박준홍 박사 연구팀이 ‘백리향’ 추출물의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효능을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백리향은 한의학에서 사향초(麝香草)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감기·기침·기관지염·소화불량·치통·관절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었으나 현재 그 활용이 많이 줄었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동서생명과학연구원 (원장 손창규)이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폐경 후 여성의 기억력 감퇴 및 우울감 발생’의 기전을 규명한 연구논문 (주저자 백동철)이 국제저명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등재됐다고 18일 밝혔다.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병원장 김영일)는 동서생명과학연구원의 학생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에 참여한 한의대 본과 3학년 박재웅 학생팀이 2년간의 노력 끝에 전 세계 만성피로증후군 환자들의 피로도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우울감이 있는 사람들의 한의 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논문이 ‘대한한의학회지 (제45권 제2호, 2024년 6월 호)’에 게재됐다. 이번 논문은 동의대학교 보건의과학과·의료경영학과·한방신경정신과 연구진 (이태현·박일수·권찬영)이 작성했다.
주요 우울 장애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침 치료 세션 횟수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한 치료 효과 간의 용량 효과 관계를 조사했다. 침 치료 세션 횟수와 HAMD 점수 간의 용량 효과 관련성이 관찰되었으며, 36회의 침 치료 세션이 최적의 임상적 반응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팀은 EEG (전두엽 2채널 뇌파 측정 장치)를 활용, MCI 환자군 (481명)과 정상 인지 기능군 (1,043명)의 청각 자극에 반응하는 선택적 주의력 ERP (특정 사건 관련 뇌 내 반응)를 측정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소장 하인혁) 박경선 원장 연구팀은 만성 턱관절 장애 치료에 대한 자하거 약침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IF=3.4)’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