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콘텐츠
“침구의학의 발전 가능성? 무궁무진하죠~”
대한침구의학회(이하 침구의학회)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미래 침구의학 발전의 주축이 될 신진 연구자들을 위한 시상식이 진행된 가운데 구본혁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교수가 우수연구자상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본란에서는 구본혁 교수로부터 수상 소감 및 침구의학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
침 치료의 항우울 효과 및 혈액 속 유전 인자 조절 기전 ‘규명’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전가윤 학생(본과 3학년)과 김승남 교수(경혈학교실)가 함께 연구를 수행한 ‘침 치료의 항우울 효과와 순환 엑소좀 microRNA 발현 변화란 제하의 연구가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of Nneuroscience·SFN)의 2023 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작약감초탕의 근육 위축 예방 효능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진용·이하 한의학연)은 한의약데이터부 차성원 박사 연구팀이 작약감초탕의 새로운 약리 기전을 찾고, 근감소증 개선 효능을 규명해 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문학술지 ‘Phytomedicine (IF=7.9)’에 게재됐다.
경희대한방병원, 한약 ‘청혈단’ 허혈성 뇌졸중 재발 억제 연구 SCI(E)급 학술지 게재
경희대한방병원 중풍뇌질환센터 권승원·이한결 교수팀이 ‘한약 청혈단의 허혈성 뇌졸중 재발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SCI(E)급 학술 저널인 ‘메디슨 (Medicine)’ 2023년 11월 호에 게재됐다.
턱관절 장애, 침 치료가 물리 치료보다 효과적
턱관절 장애 치료에 있어 물리 치료 등 통상 치료와 비교한 결과 침 치료가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한 평가지표의 분석을 통해 침 치료의 유효성을 밝힌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Medicine (IF=1.552)’에 게재됐다.
한의학연, 국제 공동연구 통해 경혈 자극 효과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진용·이하 한의학연) 이보람 (제1저자)·이명수 (교신저자) 박사 연구팀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침 치료 임상연구를 분석, 경혈 자극이 비경혈 자극보다 치료 효과가 좋다는 것을 규명해 냈다.
생활과학이야기
[MedRIC 카드뉴스]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진다면 한랭질환을 조심하세요!
올 겨울에는 기온은 변화가 크고,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갑작스러운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외출 시 보온에 각별히 주의해 주세요. 한랭질환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겨울나기 하세요.
[네이버포스트-카드뉴스] 국산 밤꿀 항바이러스 효과 있다?!
밤꿀은 아카시아꿀 생산 이후 6월 중순 생산되는 벌꿀로 맛과 향이 강하지만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과 같은 다양한 영양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면역력 강화, 천식, 기관지 염증 완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항균 작용에서도 효과가 있고, 피로 해소, 콜레스테롤 저하, 항암 효과, 빈혈 예방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가 있습니다.
[MedRIC 카드뉴스]추락과 낙상의 위험이 높은 곳은?
입원환자 중 가장 많은 손상환자 1위는 추락/낙상 환자입니다. 추락/낙상으로 인한 입원율은 매년 증가하며, 여성 및 고연령층일수록 추락/낙상에 취약합니다. 또한, 추락/낙상 발생 위험이 가장 높으 장소는 집입니다.
[알기쉽고 쓸데있는 ICT] HTTP, HTTPS?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주소 표시줄에 경고 문구가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HTTPS를 지원하지 않고, HTTP만 지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크롬의 경우 "주의 요함", 엣지의 경우는 "안전하지 않음"이라고 경고를 합니다.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World Wide Web에서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
[MedRIC 카드뉴스]당뇨병에 대한 모든 것 Q&A
당뇨병은 인슐린의 양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떨어져 고혈당을 비롯, 여러 증상 및 합병증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 예방 관리 5대 생활수칙 준수로 당뇨병을 예방하세요.
[MedRIC 카드뉴스]성병, 확실한 예방법 위험한 성접촉을 하지 않는 것
방치하면 암과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성매개감염병의 예방법을 안내하는 카드뉴스입니다.
선도연구센터
비위(脾胃)조절기반 Gut-Brain 시스템 제어 한의과학 연구센터
한의 비위불균형의 대표 질환인 과민성대장증후군과 우울증의 타겟으로 새로운 한의적용기술 발굴을 위해서 비위조절 기반 과민성대장증후군 제어 한의 치료기술을 개발하고, 비위조절 기반 우울증 치료 한의 처방기술을 개발한다.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구강 조직 내 메카노바이올로지 제어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이용한 생체모사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구강 맞춤형 질환 치료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수리 기계학습 연구센터
해석학, 기하학, 통계학과 같은 수리 기반의 연구를 통해 인공신경망 기반 학습의 정량화라는 난제에 도전하고 대규모 기계학습을 통해 기하학이나 해석학 난제 해결의 실마리 제공, 연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반도체, 생물정보학, 뇌과학 등의 산업 및 사회 응용 분야 문제 해결에 적용한다.
극한 양자기능물질 연구센터
극한제어를 통한 신기능 양자물성의 발현 및 개발과 이를 위한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해 신기능 양자물성 탐색 및 극한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텐서네트워크 및 머신러닝을 적용한 신기능 양자물성의 이해 및 디자인, 양자물질의 신기능성 구현 및 제어를 위한 소자 제작 및 특성을 연구한다.
비대칭 촉매반응 디자인센터
차세대 고부가가치 카이랄 화합물 발굴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신규 비대칭 유기 및 금속 촉매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해 비대칭 촉매/반응제 개발 분야와 고효율 분석/머신러닝 분야 전문가들의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광학활성 카이랄 분자 라이브러리를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독보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
멀티태스킹 대식세포가 면역반응을 넘어 우리 몸의 여러 말초 초직과 상호작용하는 생명현상을 탐구하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인터커넥톰으로 규정하여 염증과 조직항상성 분야에서 제시하는 4대 과학적 난제를 풀고자 한다. 대식세포 기원의 생명 조절 원리, 종양미세환경의 인터커넥톰, 면역-뇌조직 염증 상호작용, 장-뇌 상호작용 등의 난제 이슈에 대해 연구한다.
전문연구정보센터 바로가기
기계·로봇
생물학
의과학
전자정보
한의약융합
화학공학소재
화학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